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인포그래픽스

여름철 감염병 주범, 모기 활동 미리 알 수 없을까?

등록일: 
2017.06.26
조회수: 
3018
번호: 
no.239

여름철 감염병 주범, 모기 활동 미리 알 수 없을까? 서울인포그래픽스 제239호 2017년 6월 26일 최근 6년간 모기로 인한 감염병 환자 중 53.6%는 말라리아, 감염병 종류도 늘어남. 서울시, 모기피해 최소화 위해 국내 최초 일일모기예보제 시스템 도입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으로 제공되는 그래픽은 하단에 표로 자세히 제공됩니다.

2012년 이후 모기 개체 수, 모기로 인한 감염병 환자 모두 증가

  • 모기로 인한 서울시 감염병 환자는 2011년부터 6년간 총 911명으로 연평균 151.8명 발생
  • 최근 6년간 감염병의 종류는 말라리아가 53.6%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뎅기열(40.9%), 일본뇌염(4.5%) 순
  • 모기로 인한 감염환자와 감염병을 일으키는 모기 개체 수는 2012년 이후 지속 증가

작년 한 해, 모기 피해 최고인 불쾌단계는 총 12일, 6월‧9월 집중

  • 서울시는 모기피해를 줄이고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2014년 4월부터 일일모기예보제 시스템 도입
  • 2016년 모기활동 모니터링 결과, 주의단계는 57일, 불쾌단계는 12일이었고 불쾌단계는 6월과 9월에 집중
  • 작년 한 해 5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모기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날은 9월 11일

표 1. 모기로 인한 서울시민 감염 현황 (단위 : 명, %)

모기로 인한 서울시민 감염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합계 2011~2016
비율 연평균
말라리아 93 66 45 96 91 97 488 53.6 81.3
뎅기열 26 34 80 45 92 96 373 40.9 62.2
일본뇌염 0 3 1 11 10 16 41 4.5 6.8
치쿤구니야열 0 0 0 0 1 3 4 0.4 0.7
지카바이러스 0 0 0 0 0 5 5 0.5 0.8
합계 119 103 126 152 194 217 911 100.0 151.8

주 : ① 말라리아 : 말라리아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열성 전염병, ② 뎅기열 :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열성 바이러스 질환, ③ 일본뇌염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집모기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중추 신경계 질환, ④ 치쿤구니야열 :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의해 발생하는 유행성 열성 감염병 ⑤ 지카바이러스 : 지카 바이러스를 보유한 모기(숲모기)에 물려 생기는 감염성 질환 자료 :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웹통계시스템

표 2. 서울시 감염병을 일으키는 모기 채집 현황 (단위 : 건)

서울시 감염병을 일으키는 모기 채집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합계
말라리아 매개 모기 4 25 29 20 38 41 157
뎅기열‧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매개 모기 2 9 0 10 - 18 39
합계 6 34 29 30 38 59 96

주 : 1)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모기종의 단순 채집을 의미, 채집된 모기가 최종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인지는 알 수 없음 2) 서울시 채집 모기 중 전염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모기종을 의미, 말라리아 매개 모기는 ‘가중국·중국얼룩날개모기’,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매개 모기는 ‘흰줄숲모기’를 말함 자료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오늘의 모기예보 (서울시 유문등 채집모기 현황)

표 3. 서울시 일일모기예보제 내용

서울시 일일모기예보제 내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모기활동지수 모기 활동 정도 내용
쾌적단계 0~250 야외 모기 활동 거의 없음 생활주변 모기 유충 서식지를 관찰, 모기 침입통로 미리 보완
관심단계 251~500 야외 모기 유충 서식지 20% 이내로 형성 방충망·정화조의 틈새 확인, 버려진 용기나 헌 타이어 고인 물 제거
주의단계 501~750 야외 모기 유충 서식지 20~50% 범위로 형성 모기장‧모기 기피제 사용, 모기 유충의 서식지 발견되면 보건소 신고
불쾌단계 751~1,000 야외 모기 유충 서식지 50~100% 범위로 형성 되도록 야간 활동은 자제, 취침 2시간 전 전자모기향 사용

주 : 모기활동지수는 서울 전역에 설치된 총 50대 디지털 모기 측정기를 통해 수집한 모기포집자료를 기술통계량으로 자료 형태를 파악한 후 모기 생태에 영향을 미치는 최고온도, 최저온도, 상대습도 등 기상청의 기상 값을 가공하여 예측산식을 만든 후, 최근의 기온값을 대입, 예측 후 산출 자료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오늘의 모기예보

표 4. 서울시 일일모기예보제 단계별 현황

서울시 일일모기예보제 단계별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2016년 일수 비율 모기활동 최고일 단계별 해당 월(일수)
쾌적단계 80 33.1 249.6 (5월 9일) 5월(6일), 10월(15일), 11월(29일), 12월(30일)
관심단계 93 38.4 499.0 (9월 3일) 5월(20일), 6월(2일), 7월(21일), 8월(30일), 9월(6일), 10월(14일)
주의단계 57 23.6 743.2 (9월 14일) 5월(5일), 6월(23일), 7월(10일), 8월(1일), 9월(16일), 10월(2일)
불쾌단계 12 5.0 821.4 (9월 11일) 6월(5일), 9월(7일)
합계 242 100.0 - -

자료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오늘의 모기예보 2016년 자료 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