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on 서울연구원 (http://www.sdi.re.kr)

홈 > 서울시 자율주행차 주차수요 관리방안

서울시 자율주행차 주차수요 관리방안

  • Facebook [1]
  • Google Plus [2]
  • Twitter [3]
권호: 
제300호
발행일: 
2020-05-28
저자: 
김원호, 정상미, 김영범
다운로드
PDF icon 원본 [4] (3.37 MB)

자율주행차가 보급되기 시작하면 도로 용량 증대, 안전성 및 이동성 향상 등 많은 부분이 좋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있지만, 통행거리의 증가, 프라이버시 침해와 보안 문제 등 극복해야 할 단점도 존재한다. 이렇듯 자율주행차는 교통패턴의 변화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특히 무인 운전이 가능한 자율주행기술의 대중화는 교통수단 간 환승행태와 주차행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주행기술이 가져올 교통행태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대응하는 교통정책을 고민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는 개인 시간가치·도시 교통체계에 큰 변화 초래

자율주행차는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이용자는 휴식을 취하거나 업무를 볼 수 있는 등 개인의 시간활용을 변화시킨다. 또한, 교통사고 감소로 사회적 비용이 절감되고 무인(無人)주차 기능으로 주차장의 효율을 가져온다. 이처럼 자율주행차의 도입은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 하지만 자율주행차와 유인(有人)차 혼재 환경에서는 정체가 더 가중되며, 교통서비스의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 도달하기 전까지 유인(有人)차와 공존하는 환경은 향후 30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예측 가능한 문제점에 대한 단계별 대책 마련․시행이 필요하다.

 ‘도심 외 주차’ 자율주행차로 인해 1,470만 대·km의 추가적인 운행거리 발생

자율주행차를 이용한 도심 통행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기존 승용차 이용자는 83.7%가, 대중교통 이용자는 58.2%가 자율주행차로 전환하여 통행하겠다고 답하였다. 주차의 경우 도심 목적지 외 주차장에 주차하겠다는 응답이 66~67%로 가장 많았다. 한편 도심 자율주행차의 주차 수요를 서울시 전역으로 배분한 결과, 도심 밖 주차 차량으로 인해 최대 1,470만 대·km의 추가 운행거리가 발생하였다. 이는 서울시 총 차량주행거리의 약 27%에 해당하며, 차량 1대당 24.7km의 통행거리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 자율주행시대 대비 단계별 통행·주차수요 관리정책 필요

“조닝(Zoning)” 개념의 단계별 자율주행차 통행·주차 수요 관리정책이 필요하다. Zone 1 지역은 도심 특별관리 지역(예: 종로구·중구, 강남, 여의도 등)으로, 높은 혼잡통행료와 주차요금을 징수하고 총량제 등 강력한 수요관리 정책을 시행한다. Zone 2 지역은 도심 경계를 둘러싼 시가지 지역(예: 도시철도 2호선 라인 등)으로 적정 수준의 수요관리정책을 시행하며, 역사 주변에 승용차-도시철도 환승을 위한 “정차대”를 설치해 서울시 내 자율주행차 통행의 대중교통 전환을 유도한다. Zone 3 지역은 서울시 경계 전체로 하고 외곽(거점) 지역에 “Park & Ride” 구역을 설치한다. 서울시 외곽까지는 자율주행차를 이용하고 거점부터 도심까지는 대중교통으로 통행하도록 하는 등 광역교통 수요를 관리하도록 한다.
 
태그 입력: 
자율주행 [5]
자율발레주차 [6]
주차수요관리 [7]
도심주차수요 [8]
무인주차 [9]
무인자동주차시스템 [10]
도시교통 [11]
교통정책 [12]
주차관리 [13]
 출처 표시 + 변경금지 [14]

저자의 다른 자료

  • 연구보고서

    2021년 택시서비스 시민만족도 조사

    윤혁렬, 기현균, 김영범, 유정윤

    2022.05.03
    [15]
  • 연구보고서

    [초연결사회x전환도시] 1. 생활방식의 전환 : 시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전환

    김원호, 김수진, 박민진, 장윤희

    2022.04.07
    [16]
  • 연구보고서

    [초연결사회x전환도시] 2. 교육의 전환 : 호모에루디티오로 살아가기

    김원호, 이영주, 이윤혜, 이정현

    2022.04.07
    [17]

관련 자료

  • 연구보고서

    서울시 승용차 이용자 '속마음' 분석결과 활용한 친환경 교통수단 활성화 방안

    이창, 변미리, 박세현

    2022.04.28
    [18]
  • 연구보고서

    뉴노멀 시대 준비하는 서울의 교통정책 방향

    이신해, 유경상, 한영준, 연준형, 이하식, 정상미

    2022.04.01
    [19]
  • 정책리포트

    서울시 AI 생태계 분석 및 정책방안

    주재욱, 유인혜

    2022.03.18
    [20]

많이 본 정책리포트

  • 정책리포트

    서울의 1인 가구, 에너지 얼마나 쓸까?

    김민경

    2021.06.08
    [21]
  • 정책리포트

    장벽사회, 청년 불평등의 특성과 과제

    김승연, 박민진

    2021.06.28
    [22]
  • 정책리포트

    서울시 뇌병변장애인의 사회진출 현황과 지원 방안

    윤민석, 이영주, 임상욱

    2021.08.10
    [23]
리스트 [24]

Source URL: http://www.sdi.re.kr/node/63507

Links
[1] http://facebook.com/sharer.php?u=http%3A%2F%2Fwww.sdi.re.kr%2Fnode%2F63507&t=%EC%84%9C%EC%9A%B8%EC%8B%9C%20%EC%9E%90%EC%9C%A8%EC%A3%BC%ED%96%89%EC%B0%A8%20%EC%A3%BC%EC%B0%A8%EC%88%98%EC%9A%94%20%EA%B4%80%EB%A6%AC%EB%B0%A9%EC%95%88
[2] https://plus.google.com/share?url=http%3A%2F%2Fwww.sdi.re.kr%2Fnode%2F63507
[3] http://twitter.com/intent/tweet?url=http%3A%2F%2Fwww.sdi.re.kr%2Fnode%2F63507&text=%EC%84%9C%EC%9A%B8%EC%8B%9C%20%EC%9E%90%EC%9C%A8%EC%A3%BC%ED%96%89%EC%B0%A8%20%EC%A3%BC%EC%B0%A8%EC%88%98%EC%9A%94%20%EA%B4%80%EB%A6%AC%EB%B0%A9%EC%95%88
[4] http://www.sdi.re.kr/si_download/63507/27766
[5] http://www.sdi.re.kr/taxonomy/term/24879
[6] http://www.sdi.re.kr/taxonomy/term/25248
[7] http://www.sdi.re.kr/taxonomy/term/25249
[8] http://www.sdi.re.kr/taxonomy/term/25250
[9] http://www.sdi.re.kr/taxonomy/term/25037
[10] http://www.sdi.re.kr/taxonomy/term/25251
[11] http://www.sdi.re.kr/taxonomy/term/17500
[12] http://www.sdi.re.kr/taxonomy/term/17679
[13] http://www.sdi.re.kr/taxonomy/term/21453
[14]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3.do
[15] http://www.sdi.re.kr/node/66036
[16] http://www.sdi.re.kr/node/65887
[17] http://www.sdi.re.kr/node/65888
[18] http://www.sdi.re.kr/node/65937
[19] http://www.sdi.re.kr/node/65872
[20] http://www.sdi.re.kr/node/65845
[21] http://www.sdi.re.kr/node/64952
[22] http://www.sdi.re.kr/node/65012
[23] http://www.sdi.re.kr/node/65093
[24] http://www.sdi.re.kr/policy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