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주간 브리프

2015년 01월 21일 Vol.43 - 서울시가 운영하는 창작공간, 어디에 있나?

등록일: 
2015.01.20
조회수: 
1281

서울연구원 뉴스레터

 | 2015년 01월 21일Vol.43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서울시가 운영하는 창작공간, 어디에 있나? 서울시가 운영하는 창작공간, 어디에 있나?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시 내에 총 16개(2015년 개관예정 2개소 포함)의 창작공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문학, 미술, 연극, 무용 등 각양각색 시민들의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시민청, 성북예술창작센터 등 시민향유 중심형 4개소는 시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공연, 전시, 예술교육, 예술치료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며, 남산예술센터, 신당창작아케이드 등 창작지원 중심형 9개소는 예술가(무대예술, 공예 등)들에게 창작공간을 지원하고, 시민들에게 입주예술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서울연극센터, 서교예술실험센터 등 예술생태계 중심형 3개소는 인근지역 예술가들의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대부분(13개소)의 창작공간은 옛 공공기관, 공장, 쇼핑센터 등의 공간 재활용을 통해 조성되었다.
연구보고서
  • 주민참여 제도화·지역 맞춤형 용도지역제로

    현재 도시 밀도관리의 수단으로 시행 중인 용도지역제는 용도·건폐율·높이를 연동하여 일괄적으로 적용하고 있어서, 서울의 기성시가지에 적용하기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을 살리는 도시관리를 위해서 이 연구는 맞춤형 용도지역제의 대안을 모색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 등에 따라 용도·밀도·건폐율을 분리하고 다양한 모듈을 만들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모듈러 조닝기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모듈러 조닝기법으로 도시의 개발밀도를 관리하는 용도지역제 본연의 역할을 회복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진정한 지역 맞춤형 용도지역제는 ‘우리 지역에서 보전할 특성은 무엇인가?’에 관한 주민의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원만한 적용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연구는 일상생활권의 미래상을 결정하는 데 주민 스스로 계획할 수 있는 주민참여 제도화 방안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세계도시동향
  • 이번엔 공영 전기스쿠터 시스템 ‘스쿠트리브’ 도입 추진(파리市)

    파리市는 친환경 대중교통 시스템인 공영자전거 벨리브(Vélib')와 공영 전기자동차 오토리브(Autolib')의 성공에 이어, 공영 전기스쿠터 시스템 스쿠트리브(Scootlib')의 도입을 준비 중이다. 스쿠트리브 사업의 목표대상은 14~16세의 청소년들과 35~40세의 성인 근로자들로, 이들은 주로 벨리브·지하철을 이용해 파리 내에서 이동하며 파리의 교통혼잡을 피해 디젤형 스쿠터를 이용하려는 욕구가 강하다. 스쿠트리브의 스쿠터는 100% 전동으로 조용하며 공해물질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해지는 공기오염과 차량 혼잡을 감소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스쿠트리브 임대비용은 조건에 따라 시간당 3~10유로(약 3,800~12,600원) 사이에서 차등적으로 선정될 예정이며, 웹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서비스에 등록하거나 스쿠터를 예약하고 주차할 지점을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 ‘쓰레기 줄이면 채소로 교환’ 에코 머니 사용(일본 교토市)

    교토市는 ‘KYOTO 에코 머니(eco money)’ 제도를 2011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쓰레기를 줄이면 커피체인점과 의류판매점 등에서 ‘에코 머니’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가상화폐는 교통카드 충전이나 지역재배 야채 등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참여하는 커피체인점에서 개인용 용기(텀블러)를 사용하여 음료를 구매하면 50엔(약 460원)에 상당하는 ‘에코 머니’ 1포인트가 적립되며, 참여하는 의류판매점에 헌 옷을 가져가면 의류 1kg당 1포인트의 ‘에코 머니’가 적립되는 식이다. ‘에코 머니’가 10포인트 쌓이면 교통카드 충전, 지역생산 채소, 시립시설 입장권 등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현재 스타벅스, 도토루, 무인양품, 타카시마야 백화점 등 23개의 브랜드 104개 점포가 이 제도에 참여하고 있으며, 참여 점포는 손님에게 스탬프를 찍어주는 역할만 하고 에코 포인트 자체에 대한 사업자의 부담이 없다.
알림마당

서울연구원 정규직 채용 (연구직)

서울연구원은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며, 서울의 미래를 설계하고 당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가 설립한 정책연구기관으로서 유능한 인재를 초빙합니다.

썸네일
서울연구원

137-071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 길 57 (서초동)
57, Nambusunhwan-ro 340-gil, Seocho-gu, Seoul, Korea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