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가구당 겨울철 난방비는?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12/12/2016 - 10:02등록일:
2016.12.12
조회수:
7831
서울 가구당 난방비 월평균 15.3만 원 지출, 절반가량(49.2%)이 10~20만 원 지출
- 2015년 서울복지실태조사 결과 서울의 가구당 겨울철 난방비는 월평균 15.3만 원(2014년 12월~2015년 2월 기준)
- 지출구간별로는 10~20만 원이 절반가량(49.2%)을 차지하였으며, 20~30만 원이 24.5%, 10만 원 미만이 20.3%, 30만 원 이상이 6.0% 순
1㎡당 난방비는 다가구용단독주택이 가장 높고(2,609원), 아파트가 가장 낮아(1,847원)
-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와 일반단독주택의 난방비가 각각 16.6만 원으로 가장 높고, 그다음은 연립주택 16만 원, 다세대주택 14.4만 원 순이었으나, 단위면적(1㎡)당 난방비는 다가구용단독주택이 2,609원으로 가장 높고, 아파트가 1,847원으로 가장 낮아(기타 제외)
- 주택규모별로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66~99㎡가 16.6만 원, 그다음으로 많은 33~66㎡가 11.6만 원을 지출하였으며, 주택규모가 커질수록 난방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함
난방비가 소득의 10%를 넘는 가구는 13.2%, 소득의 20% 이상도 6.2%에 달해
- 가구소득 대비 난방비 지출 비중은 5% 미만이 59.0%로 가장 많고, 5~10%가 27.7%로 그다음을 차지
- 반면, 난방비가 소득의 10%를 넘는 가구는 13.2%였으며, 소득의 20%가 넘는 가구도 6.2%에 달해
표1 . 서울 가구당 겨울철 난방비 현황 (단위: %, 만 원)
월평균 난방비 | 10만 원 미만 | 10~20만 원 | 20~30만 원 | 30만 원 이상 | 평균(만 원) |
---|---|---|---|---|---|
비중 | 20.3 | 49.2 | 24.5 | 6.0 | 15.3 |
주: 월평균 난방비는 2014년 12월 ~ 2015년 2월 기준 자료: 서울특별시·서울연구원, 2015년 서울복지실태조사(서울 거주 3,019가구 대상, 표준오차 95% 수준에서 ±1.8%)
표2 . 서울 주택유형별 난방비 지출액 (단위: %, 만 원, 원)
주택유형 | 비중 (%) | 월평균 난방비(만 원) | 단위면적(1㎡)당 난방비 (원) |
---|---|---|---|
일반단독주택 | 13.2 | 16.6 | 2,570 |
다가구용 단독주택 | 24.0 | 13.6 | 2,609 |
다세대주택 | 11.0 | 14.4 | 2,412 |
연립주택 | 5.6 | 16.0 | 2,183 |
아파트 | 41.1 | 16.6 | 1,847 |
기타(오피스텔, 고시원 등) | 5.1 | 11.3 | 6,161 |
합계 | 100.0 | 15.3 | 2,425 |
주: 월평균 난방비는 2014년 12월 ~ 2015년 2월 기준, 단위면적은 전용면적 기준 자료: 서울특별시·서울연구원, 2015년 서울복지실태조사(서울 거주 3,019가구 대상, 표준오차 95% 수준에서 ±1.8%)
표3 . 서울 주택규모별 난방비 지출액 (단위: %, 만 원)
주택규모 | 비중 | 월평균 난방비 |
---|---|---|
33㎡미만 | 6.3 | 9.5 |
33~66㎡ | 34.0 | 11.6 |
66~99㎡ | 33.9 | 16.6 |
99~132㎡ | 21.5 | 19.5 |
132㎡ 이상 | 4.2 | 22.7 |
합계 | 100.0 | 15.3 |
주: 월평균 난방비는 2014년 12월 ~ 2015년 2월 기준, 주택규모는 전용면적 기준 자료: 서울특별시·서울연구원, 2015년 서울복지실태조사(서울 거주 3,019가구 대상, 표준오차 95% 수준에서 ±1.8%)
표4 . 서울 가구소득 대비 난방비 지출 비중 (단위: %)
소득 대비 난방비 비중 | 5% 미만 | 5~10% 미만 | 10~15% 미만 | 15~20% 미만 | 20% 이상 | 합계 |
---|---|---|---|---|---|---|
가구 비중 | 59.0 | 27.7 | 4.8 | 2.2 | 6.2 | 100.0 |
자료: 서울특별시·서울연구원, 2015년 서울복지실태조사(서울 거주 3,019가구 대상, 표준오차 95% 수준에서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