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대비 노인친화적 교통체계 수립 (호주 뉴사우스웨일즈州)
등록일:
2019.03.26
조회수:
1688
호주 뉴사우스웨일즈州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교통수요 증가와 교통정책 개선 필요성 을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교통정책 수립에 착수함. 주정부는 노인의 교통서비스 접근성 향 상과 독립적인 이동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노인 교통전략’을 수립・시행하여 유연한 대 응이 가능한 주문형(On-demand) 대중교통 도입 등 다양한 해법을 강구하는 중
배경과 목적: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교통체계 개편 필요성
- 뉴사우스웨일즈 인구는 고령화가 진행 중
- 2017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16%(120만 명)이며, 전체 인구의 33.8%가 이미 50세 이상이고, 20년 후에는 전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이 될 전망
- 노인 인구 증가가 교통체계에 주는 시사점은 매우 광범위
- 첫째는 노인성 장애가 있는 인구의 증가와 그에 따른 독립적 이동성 저하를 의미
- 65세 이상 노인의 약 절반(49.4%)은 크고 작은 장애가 있으며, 27.4%는 교통을 포함한 일상생활 돌봄 지원이 필요
- 둘째는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노인의 증가를 의미
- 대중교통이나 개인교통을 이용하는 노인의 증가는 교통체계가 노인의 독립적 이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
- 첫째는 노인성 장애가 있는 인구의 증가와 그에 따른 독립적 이동성 저하를 의미
- ‘노인 교통정책’을 수립해 노인 교통수요 변화에 대응
- ‘노인 교통정책 2018~2022’(Older Persons Transport and Mobility Plan)를 수립해 노인 교통정책 개선의 필요성에 대응하고 실행방안을 제시
- 노인 교통서비스 접근성 향상과 독립적 이동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
- 주정부의 상위 교통전략 보고서가 추구하는 노인 교통정책 비전 실현을 지원
- 교통서비스의 통합성・지불가능성・안전성・접근성을 향상하고, 개별화된 맞춤형 교통서비스 실현을 추구
- ‘노인 교통정책 2018~2022’(Older Persons Transport and Mobility Plan)를 수립해 노인 교통정책 개선의 필요성에 대응하고 실행방안을 제시
-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노인친화적 교통체계와 서비스 개선책 마련
- 주정부는 설문조사를 시행해 노인의 교통서비스 욕구를 파악했으며, 이에 기초하여 노인친화적 교통체계와 서비스 개선책을 마련
- 유연한 운영이 가능한 주문형 교통서비스 도입, 일선에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치매 노인 승객 대처 훈련 제공, 병원・의료시설 등 노인이 주로 찾는 목적지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통서비스 재설계 등
- 주정부는 설문조사를 시행해 노인의 교통서비스 욕구를 파악했으며, 이에 기초하여 노인친화적 교통체계와 서비스 개선책을 마련
주요내용
- 다음 5가지 원칙에 기초해 ‘노인 교통정책’을 수립
- 1) 노인이 경험하는 교통 불이익 감소
- 교통시설 접근 어려움, 저임금,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교통서비스 이용 장소, 독립 이동의 자신감 저하, 안전 문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불이익을 감소
- 2) 모든 이를 위한 교통
- 신체기능・시각・청각・인지기능 등의 장애가 있는 모든 이가 교통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편 설계(Universal Design) 개념을 도입
- 3) 이동의 연속성(Whole of Journey) 강화
- 교통수단 간의 연계를 원활히 해 노인이 갈아타는 데에 겪는 불편함을 감소
- 특히, 병원・의료기관・쇼핑센터 등 노인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과의 연계를 강화
- 4) 정부 간 협력
- 주정부는 교통정책 수립・시행의 일차적인 책임을 지고, 각 구청(Councils)은 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지역 특성에 따른 노인 교통지원 프로그램・서비스를 개발
- 5) 혁신적인 해법 강구
- 신기술과 보조도구 등을 활용한 노인 교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연한 운영이 가능한 주문형 교통서비스를 도입
- 1) 노인이 경험하는 교통 불이익 감소
- 위 5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4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새롭게 추가할 실행계획을 제시
[표 1] ‘노인 교통정책’ 주요 신규 실행계획(발췌)
목표 영역 신규 실행계획 지역사회와
능동적인 연계인프라 및
시설- 기초 지방정부와 함께 노인의 보행성과 교통 안전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개선(버스 정류장, 자전거와 보행자 공유 도로에서 보행 안전 등)
- 교통시설에 노인전용 화장실・대기실・좌석 등 제공
- 노인 전용 화장실에 휠체어 등 보행 보조기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 제공
- 버스 정류장 설계 기준 개선, 노인 고객의 안전을 위한 버스 운전자 훈련 지침 마련
정보 - 고령자가 운전자에서 비운전자로 전환하는 이유와 경로 검토
- 자동차의 대안이 될 수 있는 교통수단 관련 정보
- 노인을 위한 여가 여행 상품 촉진
서비스 - 노인 교통카드 이용 데이터를 활용한 노인 교통 이용 패턴과 잠재적 서비스 욕구 파악
- 수요 대응형 교통서비스 시범사업 지속 추진
- 지역별로 노인 교통 불이익 실태 파악(외곽 지역 등)
안전 저렴하고
안전한 교통- 보행 보조기기의 안전성 점검 강화
- 충돌방지 기술 장착 등이 적용된 안전한 자동차 구매 권장과 장려금 지급
- 노인의 미끄러짐・낙상 사고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사고 다발 구간・지역의 사고 방지 대책 마련
-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노인이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보행시간 연장
정보 - 노인 우대 좌석 운영 캠페인
- 교통 인프라가 노인 보행자가 이용하기에 적합한 정도를 검토
- 노인 비율이 높은 지역의 자동차 제한속도를 낮추고 신호체계 개선
고객서비스 - 버스 이용에 관한 노인 서비스 욕구 조사
- 버스 운전자와 일선 직원을 대상으로 치매노인 승객을 위한 서비스 훈련 제공
정보 서비스 정보 교육 - 노인 테크놀로지 교육 프로그램(Tech Savvy Seniors Program)을 활용해 실시간 교통서비스 이용 방법 교육
- 특히 치매나 기타 이동성 제약을 경험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교통서비스 훈련 프로그램 (Travel Training) 인지도와 이용도 제고
- 운행 시간표와 기타 대중교통 정보의 노인 가독성(legibility) 개선
- 길찾기 정보 서비스 개발에 노인을 참여하게 하고, 치매 등의 인적 요인 고려
독립성 교통서비스 - 버스 정류장이나 기차역이 멀리 있는 노인을 위한 간선・지선(hub and spoke) 교통망 개선
- 교통망에서 소외된 지역의 노인을 위한 유연한 대중교통 서비스 확대
- 지역사회 교통서비스(community transport)를 활용한 주문형 대중교통서비스 도입
인프라 및
시설- 구청과 연계하여 버스 정류장・보도・도로턱 등 노인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저해하는 장벽을 제거하고 교통시설 설계 개선
https://www.transport.nsw.gov.au/news-and-events/media-releases/help-kee...
https://www.future.transport.nsw.gov.au/plans/older-persons-transport-an...
정 용 문 통신원, jungraphae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