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이슈큐레이터

서울이슈큐레이터 - 도시계획·재생 연구 30년 “서울 도시공간을 디자인하다”

등록일: 
2022.11.28
조회수: 
897
시민의 관심이슈에 정책연구로 답합니다

자료: 서울연구원 30년사 ‘30년 연구성과와 과제’

도시계획·재생 분야는 30년간 총 688건의 연구과제를 수행했습니다. 7개의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가장 많이 차지하는 100건(14.5%)은 ‘도시의 여건 변화와 도시관리체계’ 개편 연구입니다. 그 다음으로 ‘공공토지자원 활용과 전략거점’ 개발 연구 98건(14.2%), ‘미래서울 공간구상과 도시기본계획’ 연구 91건(13.2%), ‘경관과 역사문화자원 관리’ 연구 82건(11.9%), ‘지역균형발전 및 도시재생’ 연구 65건(9.4%), ‘주거지 관리와 정비’ 연구 52건(7.6%), ‘도심부 관리와 정비’ 연구 23건(3.3%) 순이었습니다. 기타 연구도 177건(25.7%)에 이릅니다.

민선 1기 조순 시정에서는 지방자치제 도입 이후 서울시와 자치구의 도시기본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2011 서울도시기본계획」은 1993~1997년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연구원 전 부서가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연구원은 양호한 주거환경의 유지와 주거지역의 개발밀도 관리를 위해 노력했으며 서울의 무분별한 확산과 고밀 개발에 대응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또한, 경관관리를 위한 기초연구도 활발하게 진행했습니다.

 

민선 2기 고건 시정의 연구원은 도시관리계획 기법 연구, 미래 중심지 개발 연구, 도시관리 및 토지이용계획, 지구단위계획, 도시계획체계 구축, 도심부 관리 연구와 같이 서울시 도시계획의 기본 토대와 기반을 마련하는 연구를 다수 수행했습니다. 한편, 2000년 밀레니엄을 맞아 상암 신도시를 새천년 미래 중심지로 건설하는 기본구상도 연구했습니다. 서울 도심부의 다양성과 역사·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연구는 이후 도심부 관리의 기본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와 함께 도심부 연구를 진행하었고, 도심부의 역사문화 자산을 보전하기 위한 북촌 기본계획, 인사동 지구단위계획도 수행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서울시 주거지역 세분화를 지원했으며 현안 대응형 연구도 진행했습니다.

 

·  연구보고서|서울 도심부 주거실태와 주거확보 방향 연구
·  연구보고서|서울시 일반주거지역 용도규제 기준개선

·  연구보고서|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운영평가와 개선방향 연구

민선 3기 이명박 시정의 핵심 정책인 청계천 복원사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도심부 관리계획을 수정·보완하는 연구,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 뉴타운 구역 지정을 위한 연구 등을 수행했습니다. 서울시에 얼마 남지 않은 가용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마곡·문정·장지지구 종합개발 구상을 수립하는 연구도 이루어졌습니다. 서울시 지역 간 격차 완화를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한편, 행정수도 이전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와 서울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기초연구도 진행되었습니다.

 

민선 4기 오세훈 시장 때에는 서울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심 재창조와 한강 수변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습니다. 2008년 세계금융 위기로 경기 침체와 저성장 기조 전환이 가시화되면서 공간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했습니다. 특히, 뉴타운사업이 지지부진해지면서 이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과 후속 처리방안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이에 연구원은 시정 현안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민선 5기부터 6기 박원순 시정의 핵심 정책인 도시재생과 역사문화 보존, 미개발지의 계획적 관리 등이 중요한 현안 과제였습니다. 연구원은 뉴타운 출구전략과 서울형 도시재생 연구를 중점적으로 추진했습니다. 2014년에는 시민 참여형·분권형 계획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는데, 연구원이 주도적으로 시민참여단을 구성해 시민이 계획수립 과정에 직접 참여한 최초의 계획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에 둔 도시계획 또한 중요한 화두였습니다. 이에 역사문화도시로서 서울의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알려지지 않은 유무형 문화유산의 발굴 및 관리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2019년부터 디지털 대전환시대 미래공간전략과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연구를 활발히 했습니다.
 

디지털 전환과 도시기능 변화, 2년 넘게 이어진 팬데믹과 같은 대전환의 시기를 겪고 있는 민선 7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오세훈 시정은 그 대응전략을 치열하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에 서울연구원의 미래연구는 기존 연구의 틀에서 벗어난 속도감 있는 연구, 융복합적 전망, 과감한 정책대안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도시공간의 큰 그림과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에서부터 새로운 주거환경, 다원화되는 일자리, 다양해지는 여가·문화 수요, 자율주행과 항공교통에 대한 수요 등을 담은 분야별 미래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시정 철학을 뒷받침하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도시계획 이야기 어떠셨나요? 12월에는 시민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주택 연구 30년을 소개하겠습니다. 서울연구원 개원 30주년 기획 시리즈 7편도 기대해 주세요.

 

관련 콘텐츠|개원 30주년 기획 시리즈

① 도시사회 연구 30년 “IMF부터 코로나 팬데믹까지...” 

② 산업‧경제연구 30년 “제조업 시대를 지나 4차 산업혁명 한가운데 서다”

③ 도시경영 연구 30년 “공무원 청렴도 측정 모형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④ 안전·환경 연구 30년 “서울을 더 안전하고 더 쾌적하게”

⑤ 교통연구 30년 “타면 탈수록 편리한 서울 대중교통”

 
06756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40길 57 (서초동)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
Copyright 2019 Seoul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본 메일은 발신전용으로 회신이 불가능합니다.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