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개방화 시대 광역경제권의 부상과 수도권 전략

등록일: 
2008.06.16
조회수: 
2713
권호: 
제14호
발행일: 
2008-06-16
저자: 
정희윤
다운로드
PDF icon 원본 (692.73 KB)

글로벌 경쟁의 가속화에 따라 국가 역할이 점차 감소하고, 광역경제권이 새로운 경쟁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세계경제의 개방과 FTA 확산 등 글로벌 경쟁체제의 진행으로 자본과 기업의 이동이 한층 자유로운 경제의 무국경화가 진행되면서, 국민국가(Nation State)의 역할은 점차 약화되고 있다. 한편, 지식기반 산업이 주도하는 경제구조와 주민생활 및 경제활동의 공간적 광역화로 인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고급인력과 각종 기능 및 활동이 집적되고 광역경제권의 경쟁력이 국가경제를 주도하는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광역경제권이 하나의 독립된 공간경제 단위로서 중시되는 신지역주의(New Regionalism)의 확산으로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는 이미 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한 분권형 국가발전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 프랑스 등 유럽에서는 글로벌 경쟁체제와 통합유럽(EU) 시대의 도래로 광역경제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도화하여 추진하거나 도입하는 것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도 전국을 8개 광역권으로 설정하는 국토형성계획을 제정하고, 몇 개의 블록 단위로 과세자주권과 입법권을 가지는 광역경제권 주도형 도주제를 2018년까지 완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도 마찬가지로 경제특구 지정을 통하여 주강삼각주, 장강삼각주, 발해만 지역 등 소위 3대 광역경제권을 성장 엔진으로 인식하고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새 정부 출범 이후 기존 균형발전정책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지역경제 모델로서 5+2 광역경제권 구상과 6대 전략을 제시한 바 있으나, 아직 그 실체가 모호하다. 한편, 수도권은 사실상 한국 경제의 기관차 역할을 하고 있으나 세계 대도시권에 비해 아직 국제 경쟁력이 매우 취약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이다.
현재까지 수도권 정책은 수도권 성장 억제를 통한 국토 균형발전에 역점을 두어 왔으나, 앞으로는 국가의 성장엔진으로서 동북아 허브가 되는 것을 목표로 수도권의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수도권에 대한 규제의 합리화 및 계획적인 성장관리체계 구축과 더불어 자율성과 책임성이 확보된 광역행정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도권 광역산업클러스터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비교우위에 있는 특화산업을 고도화하고, 기능별·부처별로 다원화된 지원체계를 지역통합형 지원체계로 전환한다. 아울러 수도권의 지역경쟁력 확보를 위해 광역교통 및 광역환경 관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