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메가시티로의 도약을 위한 서울의 다핵화 전략

등록일: 
2009.08.10
조회수: 
4450
권호: 
제44호
발행일: 
2009-08-10
저자: 
이주일.김인희
다운로드
PDF icon 원본 (4.22 MB)

최근 도시기능의 집적과 확산은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인구와 고용의 감소, 국제적인 도시 간 경쟁의 심화, 저출산・노령화의 급속한 진전, 지구온난화 및 에너지 위기, 서울 및 수도권의 광역화 등 새로운 사회・경제적 환경변화는 서울의 도시공간구조 재편을 요구하고 있다.

불균형 성장하는 서울의 중심지
1960년대 이후 서울은 급격한 인구증가, 산업화, 도시의 외연적 확산, 공공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 등으로 단핵도시구조에서 다핵공간구조의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서울은 현재 1도심, 5부도심, 11지역중심, 53지구중심의 다핵공간구조를 갖고 있다.
효율적인 다핵공간구조는 핵이 되는 중심지가 여러 개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각기 독자적인 특성을 갖고 체계적인 네트워크로 연계되어 적절한 기능 분담 및 보완관계를 형성하는 도시구조를 의미한다. 그러나 서울의 중심지체계는 도심, 영동, 영등포의 3핵을 제외하고는 그 위상이 매우 미약하며, 중심지 간을 연결하는 대중교통수단도 부족한 실정이다. 도심, 영등포 영동 등의 중심지는 지속적인 업무기능의 강화로 직주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청량리․왕십리 상암․수색, 미아, 망우 등 강북의 중심지는 오히려 주거기능 강화로 직주비율이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새로운 선진도시들의 공간구조 전략
일본 도쿄의 경우에는 환상철도로 연계되는 역세권 중심의 1도심, 7부도심의 다핵구조의 중심지체계를 갖고 있다. 또한, 개성있고 활력있는 부도심을 육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부도심을 특성화하고 이에 따른 육성용도의 지정 및 도시개발 인센티브제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기존의 중심지를 통합・확대한 10개의 새로운 중점정비지역을 선정하고 거점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연계 복합개발이 필요한 서울의 다핵화 전략
급변하는 동북아 대도시권 내에서 서울의 중심지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첫째, 중심지별로 기능을 특화하고, 국제적 거점, 광역거점, 지역중심 등 거점개발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공간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도심과 용산은 ‘보존과 개발’이라는 통합전략을 수립하여 21세기 서울의 신중심지로 위상을 강화한다. 둘째, 서울의 중심지와 수도권의 성장거점도시를 상호・연계할 수 있도록 다핵연계형 광역공간구조를 구축한다. 셋째, 중심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광역교통망 연결, 중심지별 성격에 따른 도시개발 용적률 인센티브 제공, 지식창조특구 지정 등 실효성 있는 정책지원이 필수적이다.

태그 입력: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