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서울시 수요응답형 이동서비스(DRT) 도입방안

등록일: 
2024.03.26
조회수: 
617
저자: 
홍상연, 김승준, 양재환, 박세현
부서명: 
도시교통연구실
분량/크기: 
86Page
발간유형: 
정책
과제코드: 
2022-PR-44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202.92 KB)
PDF icon 요약 (380.85 KB)
PDF icon 원본 (14.58 MB)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취약 지점 개선을 위해 수요응답형 이동서비스(DRT) 도입 마련해야

서울시 버스, 이용감소·보조금증가로 위기…수요응답형 이동서비스에서 해답을! 

2004년 대중교통 개편 이후 서울시의 지속적인 투자와 다양한 노력에 힘입어 버스의 수단분담률은 2010년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버스 이용객은 더욱 급감하였고, 이에 따라 시내버스 보조금도 2019년 2,915억 원에서 2022년 8,144억 원으로 약 2.8배 증가하였다.
버스 이용수요의 감소와 그로 인한 보조금 증가의 이유는 교통서비스에 대한 시민의 요구는 다양해졌지만 버스의 서비스 수준이 이에 부응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팬데믹,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 등으로 시민들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행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한 반면, 버스 운영체계는 2004년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로 크게 변화하지 못했다.
버스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는 출퇴근 시간에 집중된 수요로 인해 혼잡한 버스에서 시민들이 느끼는 불쾌감과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다. 반면에 버스 수요가 적은 지역에서는 마을버스 운영업체의 적자 누적으로 버스 운영횟수가 줄어 서비스 수준이 악화되기도 하고, 심야시간 이동에 대한 불편도 여전히 크다. 심야버스가 운영 중인 데에도 2022년 4월부터 발생한 심야택시 대란은 심야시간대 이동수단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와 관심이 크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이다.
이처럼 일상에서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지속적으로 느끼는 불편을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 많은 전문가가 수요응답형 이동서비스(Demand Responsive Transportation, 이하 DRT)에서 그 해답을 찾고 있다.

버스서비스 취약 지점 개선 위해 노선대체·출퇴근맞춤·심야버스연계 DRT 제안

이 연구에서는 교통카드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버스 서비스의 취약 지점을 1) 이용수요 과소로 인한 문제, 2) 이용수요 과밀로 인한 문제, 3) 심야 이동서비스의 부족 문제로 도출했다.
첫 번째, 버스 이용수요가 과소하여 배차간격이 길어지면 서비스 수준이 낮아져서 다시 이용수요가 감소하고, 종국에는 운영기관의 수익성이 감소하여 운행 중단에까지 이르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비교적 이용수요가 적고 준공영제에 포함되지 않은 마을버스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 연구는 마을버스 일부 노선을 수요응답형으로 대체하는 ‘노선 대체형 DRT’를 제안했다.
두 번째, 버스 이용수요가 과밀한 구간에서는 쾌적성과 안전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과밀에 대한 우리 사회의 위기감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전염병 확산, 과밀로 인한 대형사고를 겪으며 더욱 커졌다. 특히 지하철 9호선, 김포골드라인 등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버스 또한 이 문제에서 예외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출퇴근 시간대에 이용수요 과밀구간을 운행하는 ‘출퇴근 맞춤형 DRT’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심야버스에서는 정거장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단계(last mile)가 주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심야버스 이용자는 최종 목적지까지 자가용과 택시를 제외하면 이동할 방법이 없어 이동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는 ‘심야버스 연계형 DRT’를 제안하였다.

운영 적자와 이용자 불편을 동시에 해결, ‘노선 대체형 DRT’로 대기시간 해결 

시내버스는 준공영제로 운영되므로 적자가 증가하여도 일정한 서비스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서울시 마을버스는 팬데믹 이후 이용수요가 28.6% 감소함에 따라 250개 노선 중 196개 노선이 운행횟수를 최대 37%나 줄였다. 이처럼 운행횟수를 줄이게 되면 배차간격이 증가하고 이용객들은 더 긴 대기시간을 견뎌야 한다.
노선 대체형 DRT의 후보지는 비교적 이용수요가 적은 노선 중에 운영구간이 중첩되어 복수의 노선을 DRT로 대체할 수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DRT 도입에 따른 효과분석을 위해 실제 마을버스 이용수요를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한 결과, 해당 지역에서 기존에 운영되던 마을버스와 동일한 대수의 DRT를 운영하면 모든 이용자에게 배차가 가능하고 대기시간은 기존 대비 1/3 이하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