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체감경기지수란
서울지역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현재의 경기상황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속보성 경기지표로 「서울연구원」에서는 2008년 3/4분기부터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공표하고 있음. 아래 조사 결과는 서울지역 표본 1,2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표본의 신뢰수준은 95%, 오차는 ±2.83%p임. (조사 시점은 분기별 전월에 실시)
소비자체감경기지수 세부분류
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상회할 경우 소비자들의 현재 경기 판단 및 향후 경기에 대한 예상이 긍정적인 것을 의미.
분류 | 세부 분류 지수 | 비고 |
---|---|---|
소비자태도지수 | (생활형편, 경기판단, 구입태도지수 이용) | 소비자태도지수 |
생활형편지수 | 현재생활형편지수, 미래생활형편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
경기판단지수 | 현재경기판단지수, 미래경기예상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
구입태도지수 | 내구재구입태도지수, 주택구입태도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
소비지출지수 | 현재소비지출지수, 미래소비지출지수 | 현재 소비와 향후 소비 전망 |
순자산, 고용상황전망, 물가예상지수 |
순자산지수 | 현재 소비와 향후 소비 전망 |
고용상황전망지수 | ||
물가예상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서울시민의 전반적인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지수로서, 현재 및 미래의 생활형편, 경기, 내구재구입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판단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지수이다.
○ 2021년 4/4분기 서울의 「소비자태도지수」는 표준화지수 (표준화지수란 개별지수(5개 항목)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한 후 단순 평균을 산출하는 방식임. 연도별로 조사되는 시계열의 결과값이 성별, 가구 수, 직업 등의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분기마다 변동이 있기 때문에 표준화한 값을 구함) 기준 95.3으로 전 분기 대비 2.1p 증가
∙ 「소비자태도지수」의 표준화지수는 95.3으로 전 분기 대비 2.1p 상승하면서 기준치(100)에 근접
∙ 연 가구소득별로는 모든 소득계층에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4,800~6,000만 원 미만 가구가 3.9p 올라 전 분기 대비 가장 크게 상승했고, 2,400∼3,600만 원 미만 가구는 1.1p 올라 가장 작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
∙ 연령별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소폭 상승한 가운데 60대 가구가 3.3p로 가장 크게 상승
○ 4/4분기 이후 내년도 서울시민의 「소비자태도지수」는 완만하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다수의 리스크 요인으로 인한 경기 불안은 존재
∙ 최근 「소비자태도지수」 추세는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한 달 만에 코로나19 변이 출몰과 5차 대유행 가능성으로 경기 불안에 대한 우려가 존재
∙ 그 밖에도 인플레, 가계부채 부담 현실화, 집값 상승,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등도 불안요소로 작용
서울지역 소비자태도지수
소비자태도 | 생활형편 | 경기판단 | 구입태도 | |||||
---|---|---|---|---|---|---|---|---|
소비자태도 | 표준화지수 | 현재생활형편 | 미래생활형편 | 현재경기판단 | 미래경기판단 | 내구재구입태도 | 주택구입태도 | |
2021년 4분기 |
81.30 | 95.30 | 79.50 | 97.60 | 59.70 | 86.90 | 82.80 | 56.70 |
2021년 3분기 |
78.90 | 93.20 | 79.20 | 97.10 | 55.00 | 81.60 | 81.60 | 58.00 |
2021년 2분기 |
79.40 | 92.90 | 76.60 | 95.20 | 56.80 | 86.50 | 81.90 | 56.40 |
2021년 1분기 |
75.90 | 89.00 | 72.90 | 96.00 | 46.60 | 86.50 | 77.60 | 53.80 |
2020년 4분기 |
75.90 | 89.40 | 75.80 | 93.90 | 50.00 | 78.70 | 81.20 | 55.80 |
서울지역 소비자 소비지출지수
소비지출 | 순자산 | 고용상황 | 물가예상 | ||
---|---|---|---|---|---|
현재 소비지출 | 미래 소비지출 | ||||
2021년 4분기 |
105.10 | 89.20 | 98.00 | 85.60 | 132.90 |
2021년 3분기 |
102.60 | 87.80 | 95.70 | 76.00 | 133.30 |
2021년 2분기 |
100.30 | 87.30 | 95.30 | 78.50 | 131.40 |
2021년 1분기 |
98.00 | 85.60 | 95.60 | 74.50 | 135.40 |
2020년 4분기 |
96.00 | 85.10 | 91.60 | 69.60 | 124.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