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지표로 본 서울의 도시공간 변화

등록일: 
2010.08.02
조회수: 
5108
권호: 
제68호
발행일: 
2010-07-26
저자: 
맹다미
다운로드
PDF icon 원본 (2.02 MB)

서울의 인구는 1992년을 정점으로 감소하였으나 2005년 이후에는 소폭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종사자수도 2000년 이후 소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의 인구는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지만 인구의 공간적 분포는 새로운 개발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될 전망이다.

서울 인구 및 고용중심지의 변화
서울의 인구는 소형주택 밀집지역과 신시가지에서 주로 증가하였으며, 구시가지에서 신시가지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인구밀도는 헥타르당 172인으로 2000년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매우 과밀한 상태이다. 이는 동경 143인, 뉴욕 105인, 상하이 72인보다도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인구의 감소와는 반대로 주택밀도는 증가 추세이다. 주로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공급이 많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다세대주택의 공급과 재개발, 재건축사업의 결과이다. 서울의 산업경쟁력은 2000년 이후 인구증가와 더불어 종사자와 사업체의 증가로 활력을 되찾고 있다. 도심, 영동부도심, 영등포부도심 등 3핵 지구가 여전히 고용의 중심지이지만, 영동부도심(강남․서초구)이 도심을 추월함으로서 중심지간의 위상과 기능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도시기반시설 및 공공시설의 공간적 편중
2000년 이후 삶의 질 향상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공원, 문화시설 등 공공⋅기반시설이 확충되었지만, 자치구간 격차는 매우 큰 편이다. 공원의 경우 1인당 면적이 9.8㎡에서 10.4㎡로 증가하였지만 도시계획에 의한 공원확보 기준인 6㎡에 못미치는 자치구가 10개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시설은 인구 1만명당 0.93개로 종로구, 중구, 강남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평균 이하이다. 지하철역도 인구밀도가 높은 동북권과 서남권에서 오히려 적다. 전반적으로 과거에 비해 격차가 완화되었으나, 아직까지 주요 기반시설과 공공시설의 공간적 불균형은 여전하다.

서울시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이라는 큰 틀에서 접근
향후 생활환경의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대응보다는 긴 호흡으로 정책의 선순환 과정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생활환경의 특성과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모니터링을 실효성 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담부서 설치 등 행정적인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기반시설과 공공시설은 지역특성과 형평성에 기초하여 확충한다. 기반시설은 서비스 부족지역을 우선적으로 확충하되, 인당 시설수만이 아니라 소생활권 단위에서 수요를 고려하여 확충한다. 접근성 개선 등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소규모 시설을 분산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