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생활임금제 민간 확산 전략 방안

등록일: 
2016.09.19
조회수: 
2186
저자: 
최봉
부서명: 
시민경제연구실
분량/크기: 
73Page
발간유형: 
정책
과제코드: 
2015-PR-38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224.69 KB)
PDF icon 요약 (1.4 MB)
PDF icon 원본 (1013.34 KB)

생활임금제, 공공부문 중심 급속확산…50여 지자체 도입예정·시행

생활임금제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013년에 서울시 노원구와 성북구는 국내 최초로 생활임금제를 도입하였으며, 같은 해 부천시는 생활임금조례를 통과시켰다. 이어 서울특별시는 2015년에 광역지자체 최초로 생활임금제를 도입하였다. 그 후 각 지자체로 생활임금제가 확산되어 2015년 12월 현재 생활임금제를 시행 중이거나 도입 예정인 지자체가 50여 개에 이른다. 현재 생활임금제는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민간부문이 도입한 사례는 아직 없다. 그 결과 생활임금제 적용에 따른 수혜 대상은 공공부문의 본청·투자·출연기관 등의 일부 종사자에 불과한 실정이다.

 

생활임금제 민간부문 확산 땐 저임금노동자 상당수 혜택 받을 듯

생활임금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민간부문으로의 제도 확산이다. 이는 생활임금 수혜대상자가 민간부문에 많이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2015년 3월 기준으로 전체 노동자 1,880만 명 가운데 25.1%인 472만 명이 저임금노동자로 분류된다. 생활임금제 적용은 저임금노동자들의 실질 급여수준을 올려주는 것으로, 이 제도가 민간부문으로 확산된다면 저임금 노동자의 상당수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체 저임금노동자 가운데 비정규직이 397만 명으로 84%를 차지하고 있어서, 생활임금제는 상대적으로 일자리 안정성이 취약한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생활임금제가 일자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민간부문으로 확산된다면 저임금노동자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정책방향인 소득 주도 성장론에도 부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