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서울시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방안

등록일: 
2019.05.14
조회수: 
1818
저자: 
이석민, 윤형미
부서명: 
안전환경연구실
분량/크기: 
123Page
발간유형: 
정책
과제코드: 
2018-PR-26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380.6 KB)
PDF icon 요약 (448.25 KB)
PDF icon 원본 (18.36 MB)
PDF icon 부록 (252.25 KB)

재난·안전관리 위한 통합플랫폼 도입하고추진전략 체계화해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

스마트 안전도시, 시민참여·정보제공 부족 등 기존 안전관리 문제점 개선

재난 및 안전 관련 도시문제 해결을 위하여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이 최근 증대되고 있으며, 유럽,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많은 나라에서도 스마트 안전도시를 구축하고 있다. 
스마트 안전도시 개념은 기존에 안전도시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여 왔던 다양한 활동에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플랫폼 및 정보 서비스를 접목하여,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고 예방적인 위험관리가 가능토록 변화된 도시로 정의할 수 있다. 
서울시의 기존 안전관리의 문제점으로는 관 주도의 일방적인 안전정보 제공으로 시민들의 체감도가 낮고, 분산된 상황관리로 인하여 통합적인 안전관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며, 재난 발생 시 예방중심의 업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측면이 있다. 이에 시민들이 안전의 혜택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고, 예방중심의 재난관리와 통합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 안전도시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스마트 안전도시 운영에 핵심역할 수행하는 통합플랫폼 우선적 구축해야 

스마트 안전도시를 운영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부분은 플랫폼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를 위한 통합플랫폼을 우선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안전도시 통합플랫폼에서는 위험요인에 대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자료 수집 및 관리, 빅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한 위험예측, 재난상황에 대한 판단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서울시민들에게 위험에 대한 예경보를 제공하여 시민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위험지역 및 위험시설에 대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안전도시 통합플랫폼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데이터이다. 서울시, 외부기관, 민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난 및 안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웨어하우스 및 데이터 마트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정보시스템의 연계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시안전 서비스, 시설물 안전관리·기후변화 대응·재난취약계층 중심 제공

재난의 유형, 발생빈도, 피해 범위에 따라 도시안전 서비스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서울 스마트 안전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안전 서비스는 시설물 안전관리, 기후변화 및 기상이변 대응, 재난취약계층 보호, 행정내부의 위기관리 대응을 중심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시설물 안전관리 부분에서는 붕괴, 화재 등 위험시설물의 지속적인 계측 강화와 시설물 재난 발생 시 인명 구조를 위한 신속한 대응 등이 있다. 기후변화 및 기상이변 대응 부분에서는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인명 구조, 강우․온도․하천의 수위 및 수량 등 기후현상에 대한 지속적인 계측,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피정보 제공 등이 있다. 
행정내부의 위기관리 대응 부분에서는 황금시간 내 119 긴급출동 고도화,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의 예측 분석 등이 있다. 재난취약계층 보호 부분에서는 화재, 풍수해, 지진 등 재난 특성에 따른 맞춤형 안전정보 제공, 어린이․독거노인 및 치매환자 등 사회 약자에 대한 위치확인 서비스, 어린이 교통안전 정보 서비스 등이 있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