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한국인의 대중국 기대심리와 반중 정서 :서울시 대중국 도시외교 시사점

등록일: 
2023.08.16
조회수: 
699
저자: 
이민규
부서명: 
도시모니터링센터
분량/크기: 
73Page
발간유형: 
기초
과제코드: 
2022-BR-25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316.59 KB)
PDF icon 요약 (325.87 KB)
PDF icon 원본 (9.28 MB)

서울시, ‘기대심리’·‘반중 정서’ 반영한
‘문제해결 중심’의 도시외교 실시해야

한중 양국 간 비약적인 교류·협력에도 불구, 한국 내 ‘반중 정서’는 심화돼

1992년 수교이래, 한중 양국은 상이한 정치·안보 체제에도 불구하고 긴밀한 경제협력과 인문 교류를 바탕으로 ‘전략적’ 관계로 발전한다. 양국 교역규모는 2021년 약 3,015억 달러로 1992년 대비 약 47배 증가하였고, 방문자 수는 2016년 약 1,284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다. 양국 고위급 간 소통도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데, 2022년 6월 말 기준 2019년 12월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까지 총 47회 정상회담이 개최된다. 하지만 양국 간 전 분야에서 교류·협력이 비약적으로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반중 정서’가 사회적 이슈가 될 정도로 한국 내 대중국 이미지는 급속히 악화된다. 구글 트렌드 웹검색 결과, 최근 5년 ‘한중관계’ 대비 ‘반중’ 키워드 관심도(최고 빈도 기준, 반중:한중관계=100:59)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네이버 검색어 트렌드 결과 역시 ‘반중’ 검색량이 2022년 9월 ‘70’까지 치솟았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퓨 리서치센터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의 대중국 호감도는 2002년 66.0%에서 2021년 22.0%로 하락한다. 

한중관계 ‘객관적’ 현황과 ‘주관적’ 인식 상호 불일치, 교류·협력 추진동력 상실

한국 내 ‘반중 정서’는 실질적 한중관계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객관적’ 현황과 ‘주관적’ 인식 간에 갭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칭화대학교 한중관계 지수와 호감도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호중, 미중, 일중 관계는 호감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에 반해, 한중관계 지수는 2017년 9월 3.3까지 하락은 하지만 ‘양호’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불화’(0~-3) 이하 척도로 떨어지고 있지 않는 것이다. 다른 한편, 사건계수자료를 바탕으로 한 한중관계 평화지수를 살펴보아도, 김영삼 집권 시기 이후 한국의 대중국 평화지수는 큰 변동성을 보이지 않는다. 노무현 집권 시기를 제외하고 김대중 집권 시기부터 줄곧 44.03~44.87구간임을 알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한국의 대중국 평화지수가 중국의 대한국 평화지수보다 높게 측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문제는 ‘실질적 관계’ 대비 악화된 ‘인식’은 한중관계를 왜곡시켜 정책 실패로 이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국 관계 발전의 추진동력을 상실하게 할 수 있다. 우호적인 대중국 정책이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국내 정치의 쟁점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대중국 호감도 22%까지 지속 하락, 중국을 점차 ‘경계 대상’으로 인식

한국인의 대중국 호감도는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인다. 2015년 61.0%까지 회복하지만 2021년 다시 22.0%까지 하락한다. 한국인의 대중국 호감도는 미국과 EU에 대한 우호적 인식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심지어, 2020년 기준 러시아에 대한 인식보다도 부정적이다. 한국인의 낮은 대중국 호감도는 대륙별로 비교해 보아도 심각한 수준이다. 북유럽, 서유럽, 북미 지역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보다 비우호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국에 대한 비우호적인 인식은 한중관계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통일의식조사’ 결과에 의하면, 한국인은 중국을 ‘경쟁 대상’에서 점차 ‘경계 대상’(2007년 31.0%→2021년 51.8%)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함께, ‘협력 대상’으로 인식한다고 답한 비율이 4.8%p 감소한 것에 반해 ‘적대 대상’은 7.5%p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눈여겨볼 부문은 4강 국가 중 한국인은 미국만을 ‘협력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